김보영의 신작이 문학동네 16년 겨울호에 있길래 봤다. 개인적으론은 좀 별로였다.


내가 이갈리아의 딸들이나 그것말고 패러디한 다른 작품을 안 봐서 잘은 모르겠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빤히 드러내는 것보다는 어느순간에 휘리릭 모든 것을 깨닫게 되는 걸 좋아하는데 이번 작품은 단순히 뒤집어 놓은 것에 불과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읽으면서 떠올랐던 것이 '정조역전세계'라는 성인지. 거기서 그 세계의 남자를 주인공으로 소설을 쓴 것 같다.


마음에 안드는 세계관은 제외하고, 이야기만 놓고 봤을 땐 나쁘지 않다. 김혜나의 그랑주떼와 비교해보자면 그랑주떼는 좀 소극적이고 무기력한 모습, 즉 후유증에 대해 다뤘다면 김보영의 이 소설은 현재를 겪으며 드러나는 주인공의 생각과 감정이 잘 드러났음


단순히 남자와 여자라는 명칭을 바꾸는 것이 설득적일까? 그 이상으로 '남자 너네들도 너희보다 더 센 네필림(거인)과 같이 살게 된다면 그땐 우리를 이해할 수 있겠지' 란 느낌으로 그런 설정을 붙인 걸까?


그럼 반대로 겪어보지 못하면 결코 이해할 수 없는 문제일까. 그게 그런지 그렇지 않은 지 모르겠다. 어떤 사람은 그렇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지도 모르지. 그런데 그렇게 접근하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 생각의 끝은 고립과 배척이니까.


결론 : 이야기의 진행이나 인물의 심리묘사 등은 좋았다. 역시 김보영임. 그런데 세계관은 조금 더 생각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감상문 > 트윗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보미 - 임시교사  (0) 2016.02.07
김금희 - 조중균의 세계  (0) 2016.02.04
다크 블레이즈  (0) 2015.11.29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0) 2015.11.29
윤이형 - 개인적 기억  (0) 2015.11.29
Posted by 하늘바라KSND
,
문제의 제기는 중요하다.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히 알아야 올바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기때문에.

그러나 이미 알고 있는, 진부한 문제의 제기는 쓸모없다. 임시교사 이야기라기보다 조중균의 세계 이야기다.

어쨌거나 임시교사는 손보미스러운 이야기였다. ...사실 본 책은 산책뿐이었으니까 산책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하는 게 옳을 것이다. 심사평의 누군가가 말했듯, 평범한 일상 속의 미묘한 틈을 그려내는 능력이 참 탁월한 것 같다.

이 이야기를 쓰는 내내 나쁨에 관한 생각을 하셨다고 한다. 나도 읽으면서 나쁨에 관한 생각이 들었다. 이건 나쁜 거고 이건 나쁜 건 아닌거고...

주제는 사실 잘 모르겠다. 비정규직 이야기인지.. 문제 제기라고 하기에는 어떤 불행이나 고통이 두드러지는 것 같진 않고..
Posted by 하늘바라KSND
,
김금희 - 조중균의 세계
뭔가 이상하다. 책에서의 주된 시점이 영주였기 때문에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조중균의 행동을 그다지 이해하지 못하겠고, 굳이 이해하고 싶지도 않다. 약속기일을 어기는 것과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양립 불가능할 때 약속기일을 어기고 최선을 다하는 것에 대해 옹호해야 했나? 해고 사유서에 사인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항의를 해야했나? 물론 해설에서 말했듯이 조중균의 세계는 도태된 세계이긴하지만, 그러나 그런 세계에 대해 이 소설이 취한 태도에서 나는 미묘한 그리움을 느꼈는데, 딱 그 어렴풋한 그리움 밖에 없는 것 같았다. 물론 그것을 문학적으로 깔끔하고 아름답게 표현한 건 좋았지만, 그 이후가 없는 것 같았다.
Posted by 하늘바라KSND
,

다크 블레이즈라는 책이었는데, 꽤나 흥미로운 핀타지물. 특히 설정이. 암흑왕국이라던가, 그림자 종족이라던가.. 다만 필력은 좀 떨어졌음. 좀 많이... 서술을 반복하지 말고, 캐릭터 묘사할 때 빼고 사건을 묘사할 때 설명충 좀 박멸한 뒤 했으면...

Posted by 하늘바라KSND
,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라지 않는 지루한 세계 4화 - 여러분... 극단주의란 게 이렇게 위험합니다.... 계몽주의자들이 무지야 말로 만 악의 근원이라 했는데 그걸 알겠다. 모르고 잘못하는 건 수위가...ㄷㄷ 총괄하라..!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5화 : 풍자...ㄷㄷㄷㄷ 그치만 선도를 명목 삼아서 정부가 시민을 가르치려 드는 행위는 우리나라에서도 행해지고 있는 게 문제... 은 그렇다고 해도 청소년 스마트폰에 깔아야하는 그 앱은, 미치지 않고서야 어떻게 통과가 가능했는 지 이해를 못하겠다. 그거 따지고 보면 한 사람의 삶을 사찰하는 거잖아? 더 생각해봐야 할 것은 이게 시작에 불과할 것이라는 것..

'감상문 > 트윗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금희 - 조중균의 세계  (0) 2016.02.04
다크 블레이즈  (0) 2015.11.29
윤이형 - 개인적 기억  (0) 2015.11.29
젊은 작가상 14년 수상집  (0) 2015.11.29
알베르 카뮈 - 이방인  (0) 2015.11.29
Posted by 하늘바라KSND
,

권선징악. 좋은 말이다. 그러나 이건 정말 반박의 여지가 없는 말일까. 나는 어떤 상황에서든 나쁜 일을 용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소설 속 주인공은, 악을 물리치는 데 한 치의 망설임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그 속을 보면, 그게 옳든 옳지 않든 누군가의 원한을 살 경우가 많다. 그것을 개인이 얼마나 감내할 수 있을까. 어쩌면 윤이형 소설가의 개인적 기억에서 말하고자 했던 것은 그것일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하늘바라KSND
,

손보미 - 산책. 손보미라는 작가가 4회 연속 젊은 작가 상을 받았다는 사실이 이 글을 보면서 확 다가왔다. 확실히 이 분의 글에서는 어떤 세련미가 느껴진다.


기준영 - 이상한 정열 그러고보니 네 번째 남여 이야기다. 아까도 마음에 들지 않았던 건 남여 이야기라서? 그것도 우울한 이야기... 아니, 우울이라기보다 회색빛깔 이야기..


최은미 - 창 너머의 겨울 이런 분위기의 소설 싫어하는 것일지도... 아니면 뭐랄까 피하고 싶은 것인지. 좀 더 내용에 대해 생각해봐야겠다.


윤이형 - 쿤의 여행 트위터를 돌아다니다가 closet이라는 걸 봤다. 뭘 어쩌구 저쩌구 하면 글이 뙇! 난 그런 건 썩 좋아하진 않는다. 어쩌면 윤이형 작가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쿤의 여행은, 꿈 일기를 쓰듯 써내렸다고 한다. 대신 가끔가다 읽기 힘든 글이 튀어나오기도 하는 게 문제. 윤이형 작가의 글은 여전히 고난을 다룬다. 이번 작품에서는 '쿤'이라는 것이 꽤나 중요한데, 사실 자세한 해석은 뒤에 금정연아재..아니 평론가님이 에반게리온과 버무려 잘 설명해주셨다. 난 안봐서 사실상 어려운 말 가득한 평론과 비슷한 느낌이었지만! 쿤.. 도피.. 어쩌면 평론가님이 살짝 언급하셨듯, 중2병이라는 가면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싶어!에 나오는 그런 느낌? 여기까지 오면 TK씨의 동인지가 생각나기도 하는데... 그와는 좀 다른 것 같다. 만일 중2병 가면 같은 것이라면 차라리 피터팬에 가까운 것일테니까. 그보다는, 그래 우묵가사리에 가까운 것 같다. 고기인형에 가까운 것같다. 자신의 주관을 거세하는 것같다. No pain, no gain?


조해진 - 빛의 호위 빛의 호위는 조해진작가님의 외국 살이 때문인지 영어 번역투가 느껴진다. 난 개인적으로 불호. 내용은, 상류엔 맹금류보단 좀 더 명확하다. 구성 또한 상당히 독특한 편이다. 조금쯤 정신 없을 지도 모르겠지만.


황정은 - 상류엔 맹금류 묘사는 담백하이 읽기 좋다. 얼핏 평범한 일상물 같다. 우리 가족 이야기 같기도 하고. 문제는 주인공이다. 모처럼의 나들이에서 주인공은 분위기를 이상하게 만든다. 여친으로서, 주인공은 제희를, 제희네 가족을 오랜시간 보았지만 완전히 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실은 그들도 스스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여친으로서, 굳이 사서 고생하려는 제희가 못 마땅했을지도 모른다. 왜 굳이 자신의 가족에게 그렇게까지 하는지. 결국은 헤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결혼한 남자는 다소 원만한 가족관계를 가진 사람이다. 제희 가족과는 다르게. 어쩌면 이 이야기에서 '나'의 부모님은 친가에 가니 마니로 싸우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보면 보고 말면 마는 그런 관계. 그걸 보고 배운 나에게, 어쩌면 제희를 이해하기 힘들었을지도... 개인적인 경험상으로 공감되는 부분이 많은 소설이었지만, 그러나 정확히 어떤 말을 하고싶은 건지는 모르겠다. 그냥 이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Posted by 하늘바라KSND
,

고전 읽기와 토론 수업덕에 이방인을 읽었는데.. 내가 느끼기에는 - 이성적인척 하는 감정론자ㅗ - 나쁜 사법 시스템 ㅗ - 니가 뭔데 나의 결정을 판단하냐? ㅗ 이란 기분이다. 분명 교수님이 말씀하시길 개인의 자유와 뭐시기에 관한 내용이라고 했던 것 같은데... 그나저나 교수님이 양서주의자 같이 좀 고리타분(...)한 고정관념이 있는 것 같던데 조금 걱정임.. 어쨌거나 이제부터 해석을 읽어가며 나의 뇌를 세척해볼까!?

'감상문 > 트윗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이형 - 개인적 기억  (0) 2015.11.29
젊은 작가상 14년 수상집  (0) 2015.11.29
히가시노 게이코 - 용의자 X의 헌신  (0) 2015.11.29
부산 지브리 건축전  (0) 2015.11.29
김중혁 - 펭귄뉴스  (0) 2015.11.29
Posted by 하늘바라KSND
,

용의자X의 헌신 : 흐음.. 이런 트릭이라니 대단하다... 그나저나 딸래미는 왜 자살시도? 죽여놓고 딴 사람 감옥 보냈는데 어머니는 딴 사람 보는 것 같아서? 이시가미가 자신이 왜 이런 헌신을 했는지에 대해서 남겨두었다면, 조금 다른 결말이 나왔을까

'감상문 > 트윗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젊은 작가상 14년 수상집  (0) 2015.11.29
알베르 카뮈 - 이방인  (0) 2015.11.29
부산 지브리 건축전  (0) 2015.11.29
김중혁 - 펭귄뉴스  (0) 2015.11.29
란포기담 보고  (0) 2015.11.29
Posted by 하늘바라KSND
,

부산 지브리건축전- 건축학을 배운 진 얼마 안되었지만, 건축전이라길래 가봤다. 일전에 카연갤에서 본 미스테리의 리뷰에서처럼, 일반인에게 흥미롭다기보다 배경 그리는 사람이나 건축학을 하는 사람에게나 유용할 듯한 컨셉의 전시였다. 나는 개인적으로 만족! 쓰잘떼기 없는 모형보다도 지브리 스튜디오에서 배경을 구현하기 위해 연구했던 자료가 많아서 좋았다. 그리고 그것이 컷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 지도 같이 있어서 좋았고. 나는 3시간 30분동안 봤었는데, 담고 있는 내용이 좀 많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같이 봤었던 부모님께선 썩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하신 모양이다.

'감상문 > 트윗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베르 카뮈 - 이방인  (0) 2015.11.29
히가시노 게이코 - 용의자 X의 헌신  (0) 2015.11.29
김중혁 - 펭귄뉴스  (0) 2015.11.29
란포기담 보고  (0) 2015.11.29
문지사-표절 좌담회 글을 보고  (0) 2015.11.29
Posted by 하늘바라KSND
,